맨위로가기

어시스트 (야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시스트는 야구에서 수비수가 아웃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지만, 다른 수비수의 아웃을 돕는 행위를 기록하는 용어이다. 야수의 송구, 런다운 플레이, 희생 플라이, 태그업, 도루 저지 등 다양한 상황에서 기록되며, 수비수의 수비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KBO, MLB 등 프로 야구 리그에서 보살 관련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시스트 (스포츠) - 어시스트 (농구)
    어시스트는 농구에서 득점을 올리기 위해 동료에게 패스하여 득점을 돕는 행위를 의미하며, NBA에는 통산 어시스트 순위와 경기당 평균 어시스트 순위가 존재한다.
  • 야구 기록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기록 - 미국야구연구협회
    미국야구연구협회(SABR)는 야구 연구를 장려하고 야구 팬, 역사학자, 통계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연결하는 단체로, 야구 연구를 위한 위원회, 지부, 컨벤션, 출판물을 운영하며 야구 관련 지식 공유와 야구계 발전에 기여한다.
  • 야구에 관한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에 관한 - 홈런
    홈런은 야구에서 타자가 친 공이 구장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거나 펜스를 넘어가는 타구로, 득점으로 연결되며, 일반 홈런, 장외 홈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등으로 구분되고, 상황별, 종류별 다양한 홈런이 존재한다.
어시스트 (야구)
개요
유형야구 통계
기원야구
설명야구에서, 수비수가 타자 또는 주자를 아웃시키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한 플레이.
상세 내용
관련 용어아웃
수비
필딩 퍼센트
기타
일본어補殺 (Hosa)
영어Assist (A)

2. 보살의 기록

보살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기록된다.

== 야수의 송구 ==

야수가 타구를 처리한 후 다른 야수에게 송구하여 타자 또는 주자를 아웃시키는 경우, 송구한 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5] 예를 들어, 3루수가 땅볼을 잡아 1루수에게 송구하여 타자를 아웃시키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공격 시 주자는 야수들의 타구 처리가 늦어지면 임의로 추가 진루를 시도할 수 있는데, 이때 야수가 빠르게 공을 던져 주자의 추가 진루를 저지할 수 있다. 추가 진루를 시도하는 주자에게는 진루 의무가 없으므로 수비수가 베이스를 밟는 것만으로는 아웃시킬 수 없으며, 공 또는 공을 잡은 글러브로 주자를 직접 태그해야 아웃시킬 수 있다.[4]


  • 포수가 2루로 송구하고, 유격수도루를 시도한 1루 주자를 태그하여 아웃 시키는 경우 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희생 플라이가 실패한 경우, 뜬공을 잡은 외야수를 본 3루 주자가 홈을 노리지만, 외야수의 송구로 홈에서 포수에게 태그아웃된 경우 뜬공을 잡아 송구한 선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중계에 참여한 선수가 있는 경우에는 뜬공을 잡아 송구한 선수와 중계에 참여한 선수 모두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뜬공을 잡은 외야수가 3루로 송구하고, 태그업을 시도한 2루 주자가 3루수에게 태그아웃 시키는 경우도 외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외야로 날아간 타구를 잡은 외야수가 중계 유격수에게 송구하고, 유격수는 홈으로 송구하여 포수가 홈에서 주자를 태그하여 아웃 시키는 경우에는 외야수와 유격수 모두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주자 1루에서 3루수가 땅볼을 잡아 2루로 송구, 2루수는 이를 잡아 2루를 밟아 1루 주자가 포스 아웃. 그 후 2루수는 1루수에게 송구하여 타자 주자도 1루 아웃 시키는 경우에 1루 주자의 2루 포스 아웃은 3루수에게, 타자 주자의 아웃은 2루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홈 스틸을 시도한 주자에 대해 투수가 홈으로 송구하고, 포수의 태그로 주자가 아웃될때 투수가 던진 볼이 타자에 대한 투구라면 보살은 기록되지 않지만, 투수가 주자를 아웃시키기 위해 투수판을 벗어나 홈으로 던진 송구라면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주자의 볼 데드 중 루 베이스를 아웃시키기 위해 플레이가 선언된 후 투수가 해당 루를 커버한 야수에게 송구하고, 야수는 어필하여 주자가 아웃 시키는 경우 송구한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투수의 발에 땅볼 타구가 맞아 그 방향이 크게 바뀌어, 우연히 3루수의 글러브에 들어갔을때 3루수는 마침 달려온 2루 주자를 태그하여 아웃을 잡았다면 타구의 방향을 바꾼 것이 우연이든 고의든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3루수가 땅볼을 잡아, 1루수에게 송구한 것이 악송구가 되어, 2루 진루를 시도한 타자 주자가 백업한 2루수의 송구로 2루 베이스 부근에서 유격수의 태그에 의해 아웃 시키는 경우에는 2루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수비측의 악송구로 인해 주자가 추가로 여분의 루를 노리고, 결과적으로 아웃된 경우, 처음에 악송구를 한 선수(이 경우에는 3루수)에게는 보살이 기록되지 않는다.[5]
  • 포수가 제3스트라이크를 정규적으로 잡지 못하고 (포수 파울, 헛스윙 삼진의 조건이 성립), 1루로 송구하여 타자 주자가 아웃 시키는 경우 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런다운 플레이 ==

런다운 플레이(협살) 상황에서 여러 야수가 공을 주고받으며 주자를 아웃시키는 경우, 아웃에 관여한 모든 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단, 한 명의 야수가 여러 번 플레이에 관여해도 보살은 한 번만 기록된다. 예를 들어 1, 2루 사이에서 주자가 협살될 때, 1루수 및 유격수도 볼에 터치했지만 최종적으로 2루수가 태그하여 아웃시켰다면 1루수와 유격수 모두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 희생 플라이 ==

희생 플라이 상황에서 외야수가 뜬공을 잡은 후 홈으로 송구하여 3루 주자를 태그 아웃시키는 경우, 뜬공을 잡고 송구한 외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중계 플레이를 했다면 중계에 관여한 야수에게도 보살이 기록된다.[4]

== 태그업 ==

외야수가 뜬공을 잡은 후, 태그업을 시도하는 주자를 잡기 위해 송구하여 주자를 아웃시키는 경우, 뜬공을 잡고 송구한 외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 도루 저지 ==

포수가 2루로 송구하여 도루를 시도하는 주자를 태그 아웃시키는 경우, 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투수홈 스틸을 시도하는 주자를 잡기 위해 투수판에서 발을 떼고 홈으로 송구하여 주자를 태그 아웃시키는 경우에도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투수가 투수판을 밟고 던진 경우는 '투구'로 간주되어 보살이 기록되지 않는다.

== 그 외 ==

주자가 볼 데드 중 루 베이스를 아웃시키기 위해 투수가 해당 루를 커버한 야수에게 송구하고, 야수가 어필하여 주자를 아웃시키면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투수의 발에 땅볼 타구가 맞아 방향이 크게 바뀌어 우연히 야수의 글러브에 들어가 아웃이 된 경우에도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포수가 제3스트라이크를 정규 포구하지 못하고 1루로 송구하여 타자 주자가 아웃된 경우, 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2. 1. 야수의 송구

야수가 타구를 처리한 후 다른 야수에게 송구하여 타자 또는 주자를 아웃시키는 경우, 송구한 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5] 예를 들어, 3루수가 땅볼을 잡아 1루수에게 송구하여 타자를 아웃시키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공격 시 주자는 야수들의 타구 처리가 늦어지면 임의로 추가 진루를 시도할 수 있는데, 이때 야수가 빠르게 공을 던져 주자의 추가 진루를 저지할 수 있다. 추가 진루를 시도하는 주자에게는 진루 의무가 없으므로 수비수가 베이스를 밟는 것만으로는 아웃시킬 수 없으며, 공 또는 공을 잡은 글러브로 주자를 직접 태그해야 아웃시킬 수 있다.[4]

  • 포수가 2루로 송구하고, 유격수도루를 시도한 1루 주자를 태그하여 아웃 시키는 경우 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희생 플라이가 실패한 경우, 뜬공을 잡은 외야수를 본 3루 주자가 홈을 노리지만, 외야수의 송구로 홈에서 포수에게 태그아웃된 경우 뜬공을 잡아 송구한 선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중계에 참여한 선수가 있는 경우에는 뜬공을 잡아 송구한 선수와 중계에 참여한 선수 모두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뜬공을 잡은 외야수가 3루로 송구하고, 태그업을 시도한 2루 주자가 3루수에게 태그아웃 시키는 경우도 외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외야로 날아간 타구를 잡은 외야수가 중계 유격수에게 송구하고, 유격수는 홈으로 송구하여 포수가 홈에서 주자를 태그하여 아웃 시키는 경우에는 외야수와 유격수 모두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주자 1루에서 3루수가 땅볼을 잡아 2루로 송구, 2루수는 이를 잡아 2루를 밟아 1루 주자가 포스 아웃. 그 후 2루수는 1루수에게 송구하여 타자 주자도 1루 아웃 시키는 경우에 1루 주자의 2루 포스 아웃은 3루수에게, 타자 주자의 아웃은 2루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홈 스틸을 시도한 주자에 대해 투수가 홈으로 송구하고, 포수의 태그로 주자가 아웃될때 투수가 던진 볼이 타자에 대한 투구라면 보살은 기록되지 않지만, 투수가 주자를 아웃시키기 위해 투수판을 벗어나 홈으로 던진 송구라면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주자의 볼 데드 중 루 베이스를 아웃시키기 위해 플레이가 선언된 후 투수가 해당 루를 커버한 야수에게 송구하고, 야수는 어필하여 주자가 아웃 시키는 경우 송구한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투수의 발에 땅볼 타구가 맞아 그 방향이 크게 바뀌어, 우연히 3루수의 글러브에 들어갔을때 3루수는 마침 달려온 2루 주자를 태그하여 아웃을 잡았다면 타구의 방향을 바꾼 것이 우연이든 고의든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 3루수가 땅볼을 잡아, 1루수에게 송구한 것이 악송구가 되어, 2루 진루를 시도한 타자 주자가 백업한 2루수의 송구로 2루 베이스 부근에서 유격수의 태그에 의해 아웃 시키는 경우에는 2루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수비측의 악송구로 인해 주자가 추가로 여분의 루를 노리고, 결과적으로 아웃된 경우, 처음에 악송구를 한 선수(이 경우에는 3루수)에게는 보살이 기록되지 않는다.[5]
  • 포수가 제3스트라이크를 정규적으로 잡지 못하고 (포수 파울, 헛스윙 삼진의 조건이 성립), 1루로 송구하여 타자 주자가 아웃 시키는 경우 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

2. 2. 런다운 플레이

런다운 플레이(협살) 상황에서 여러 야수가 공을 주고받으며 주자를 아웃시키는 경우, 아웃에 관여한 모든 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단, 한 명의 야수가 여러 번 플레이에 관여해도 보살은 한 번만 기록된다. 예를 들어 1, 2루 사이에서 주자가 협살될 때, 1루수 및 유격수도 볼에 터치했지만 최종적으로 2루수가 태그하여 아웃시켰다면 1루수와 유격수 모두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2. 3. 희생 플라이

희생 플라이 상황에서 외야수가 뜬공을 잡은 후 홈으로 송구하여 3루 주자를 태그 아웃시키는 경우, 뜬공을 잡고 송구한 외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중계 플레이를 했다면 중계에 관여한 야수에게도 보살이 기록된다.[4]

2. 4. 태그업

외야수가 뜬공을 잡은 후, 태그업을 시도하는 주자를 잡기 위해 송구하여 주자를 아웃시키는 경우, 뜬공을 잡고 송구한 외야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2. 5. 도루 저지

포수가 2루로 송구하여 도루를 시도하는 주자를 태그 아웃시키는 경우, 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투수가 홈 스틸을 시도하는 주자를 잡기 위해 투수판에서 발을 떼고 홈으로 송구하여 주자를 태그 아웃시키는 경우에도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투수가 투수판을 밟고 던진 경우는 '투구'로 간주되어 보살이 기록되지 않는다.

2. 6. 그 외

주자가 볼 데드 중 루 베이스를 아웃시키기 위해 투수가 해당 루를 커버한 야수에게 송구하고, 야수가 어필하여 주자를 아웃시키면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투수의 발에 땅볼 타구가 맞아 방향이 크게 바뀌어 우연히 야수의 글러브에 들어가 아웃이 된 경우에도 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포수가 제3스트라이크를 정규 포구하지 못하고 1루로 송구하여 타자 주자가 아웃된 경우, 포수에게 보살이 기록된다.[4]

3. 보살이 기록되지 않는 경우

3. 1. 실책

야수의 실책으로 인해 주자가 추가 진루한 경우, 그 후속 플레이로 주자를 아웃시키더라도 실책을 범한 야수에게는 보살이 기록되지 않는다.

3. 2. 삼진

삼진을 기록했을 때 투수에게는 보살이 주어지지 않는다.

3. 3. 투구 후 포수의 플레이

투수가 정상적으로 공을 던진 후, 포수가 도루를 저지하고자 송구를 하거나 견제구를 던져서 주자를 아웃시킨 경우엔 투수에게 어시스트가 주어지지 않는다. 투수가 정상적으로 투구에 임하는 중 주자가 홈 스틸을 시도하는 경우, 이 주자가 태그 아웃 되었을 때도 어시스트가 주어지지 않는데, 앞서 서술한 '홈 스틸' 항목과의 차이점은 '투수가 투수판을 밟고 있는지의 여부'다. 똑같이 공을 던져도 투수판을 밟고 던지면 '투구'고, 밟지 않고 던지면 '송구'이기 때문이다.

4. 보살 기록의 분석

내야수의 보살은 주로 해당 선수가 땅볼을 처리함으로써 기록된다. 반면, 외야수의 보살은 주로 내야로의 송구로, 추가 를 획득하려는 주자를 아웃시켜 기록된다.

이처럼, 내야수와 외야수의 보살은 전혀 성격이 달라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또한, 같은 내야수라도, 타구를 처리할 기회가 많은 유격수와 타구를 처리할 기회가 적은 1루수 등은 보살 수에 큰 차이가 있어, 다른 포지션 선수의 수비력을 비교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수비 능력이 아닌, 수비에서의 팀 기여도를 생각한다면, 다른 포지션이라도 비교할 의미가 있다. 외야수에 대해서도, 좌익수 등은 중견수보다 보살 수가 많아지지만, 관례에 따라 외야수의 수비 기록은 3개 포지션을 합산하여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

보살 수를 통해 다음과 같은 능력을 볼 수 있다. 단, 당연한 이야기지만, 수비에 투입된 이닝 수가 많을수록 보살 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수비 이닝 수와 함께 보살 수를 비교하지 않으면 선수의 능력을 파악할 수 없다. 특히, 투수포수 등은 선수에 따라 이닝 수가 크게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 투수의 경우: 타구를 처리할 기회가 적지만, 보살 수가 많으면 번트 처리 등의 필딩이 좋다고 볼 수 있다.
  • 포수의 경우: 주로 인필드 땅볼 처리와 도루 저지를 합한 숫자가 되므로, 보살이 많으면, 필딩이 좋거나 또는 도루 저지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할 수 있다.
  • 내야수의 경우: 주로 땅볼을 잡아 송구하는 내야수의 기본적인 플레이에 대해 기록되므로, 수비 범위의 넓이를 비롯한 종합적인 수비 능력을 볼 수 있다.
  • 외야수의 경우: 주로 내야로의 송구로 주자를 아웃시킨 경우에 기록되지만, 외야수의 보살 수는 내야로의 정확한 송구나 어깨 힘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단 그 외야수가 강견을 선보이면, 상대 주자는 그 외야수의 송구 능력을 경계하여, 추가 루를 획득하려는 시도 자체를 주저하게 되는 경우가 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이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외야수가 상대 주자의 추가 진루를 억제했다'는 점을 수치화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 보살이라는 기록은 성질상, 전술에서 언급한 것처럼, 원래 아웃시키려고 했던 주자에 대해서는 세이프가 되어 기록되지 않더라도, 그 후에 이어진 플레이에서 발생한 아웃에 대해 기록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프로 야구의 과거 선수 표창인 JA전농 Go·Go상의 강견상에서는, 기간 중 각 선수가 외야 수비 기회에서 기록한 모든 보살을 그 내용에 따라 분류하여 포인트제(다이렉트〈직접〉 보살: 2 포인트, 그 외인 중계자를 거쳐서의 보살: 1 포인트)로 합계 획득 포인트로 수상자를 선정했다[6]。1920년 이전 메이저 리그에서는, 외야수의 보살 수가 현재에 비해 상당히 많았다. 이는 당시 비거리가 나오는 공을 사용하지 않아 외야 수비가 극단적으로 얕았고, "라이트 땅볼"이나 "센터 땅볼"이 지금보다 빈번하게 발생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4. 1. 투수

투수는 타구를 처리할 기회가 적지만, 보살 기록이 많으면 번트 처리 등 필딩 능력이 좋다고 평가할 수 있다.[6] 투수는 선수에 따라 투입되는 이닝 수가 크게 다르므로, 수비 이닝 수와 함께 보살 수를 비교해야 선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6]

역대 메이저 리그 단일 시즌 투수 최다 보살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에드 윌시: 227 (시카고 화이트삭스, 1907)[6]
  • 윌 화이트: 223 (신시내티 레즈 스타킹스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1883)[6]
  • 에드 윌시: 190 (시카고 화이트삭스, 1908)[6]
  • 해리 하웰: 178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905)[6]
  • 토니 멀레인: 177 (루이빌 이클립스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1882)[6]
  • 존 클락슨: 174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내셔널 리그], 1885)[6]
  • 존 클락슨: 172 (보스턴 빈이터스 [내셔널 리그], 1889)[6]
  • 잭 체스브로: 166 (뉴욕 하이랜더스, 1904)[6]
  • 조지 멀린: 163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04)[6]
  • 에드 윌시: 160 (시카고 화이트삭스, 1911)[6]

4. 2. 포수

포수의 보살은 주로 인필드 땅볼 처리와 도루 저지 능력을 반영한다. 보살이 많으면 필딩이 좋거나 도루 저지 능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포수는 선수에 따라 이닝 수가 크게 다르므로, 수비 이닝 수와 함께 보살 수를 비교해야 선수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역대 포수 단일 시즌 최다 보살 기록은 다음과 같다.

  • 빌 라리덴: 238 (뉴어크 페퍼스 [페더럴 리그], 1915)
  • 빌 라리덴: 215 (인디애나폴리스 후지어스 [페더럴 리그], 1914)
  • 팻 모란: 214 (보스턴 비네이터스 [내셔널 리그], 1903)
  • 오스카 스타네이지: 212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99)
  • 아트 윌슨: 212 (시카고 웨일스 [페더럴 리그], 1914)
  • 개비 스트리트: 210 (워싱턴 세네터스, 1909)
  • 프랭크 스나이더: 204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15)
  • 조지 깁슨: 203 (피츠버그 파이리츠, 1910)
  • 빌 버겐: 202 (브루클린 슈퍼바스, 1909)
  • 클로드 베리: 202 (피츠버그 레벨스 [페더럴 리그], 1914)

4. 3. 내야수

내야수의 보살은 주로 땅볼을 잡아 송구하는 기본적인 플레이에 대해 기록되므로, 2루수, 3루수, 유격수의 경우 수비 범위 등 종합적인 수비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6] 특히, 수비에 투입된 이닝 수가 많을수록 보살 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수비 이닝 수와 함께 보살 수를 비교해야 선수의 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6]

1927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프랭키 프리쉬는 641개의 보살을 기록했다.

4. 4. 외야수

외야수의 보살은 주로 내야로의 송구로 주자를 아웃시키는 경우에 기록되지만,[6] 외야수의 강한 어깨는 오히려 주자의 추가 진루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보살 기록만으로 외야수의 송구 능력을 평가하기는 어렵다.[6]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책으로, '외야수가 상대 주자의 추가 진루를 억제했다'는 점을 수치화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6]

과거에는 외야수의 보살 수가 상당히 많았는데, 1920년 이전 메이저 리그에서는 비거리가 나오는 공을 사용하지 않아 외야 수비가 얕았고, "라이트 땅볼"이나 "센터 땅볼"이 빈번하게 발생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6] 일본 프로 야구의 JA전농 Go·Go상 강견상에서는 외야 수비 기회에서 기록한 모든 보살을 다이렉트(직접) 보살(2점)과 중계자를 거친 보살(1점)로 분류하여 포인트 합계로 수상자를 선정하기도 했다.[6]

다음은 역대 외야수들의 보살 기록이다.

  • 오레이터 셰이퍼: 50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79)
  • 휴 니콜: 48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4)
  • 하디 리차드슨: 45 (버팔로 바이슨스, 1881)
  • 척 클라인: 44 (필라델피아 필리스, 1930)
  • 토미 매카시: 44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8)
  • 찰리 더피: 43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9)
  • 지미 배넌: 43 (보스턴 비너터스, 1894)
  • 짐 포거티: 42 (필라델피아 퀘이커스, 1889)
  • 오레이터 셰이퍼: 41 (버팔로 바이슨스, 1883)
  • 짐 릴리: 41 (버팔로 바이슨스, 1884)
  • 해리 스토비: 38 (필라델피아 애슬래틱스, 1889)
  • 토미 매카시: 38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8)
  • 킹 켈리: 38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83)
  • 톰 브라운: 39 (루이빌 커널스, 1893)
  • 마이크 미첼: 39 (신시내티 레즈, 1907)
  • 짐 포거티: 39 (필라델피아 퀘이커스, 1887)
  • 지미 셰카드: 36 (브루클린 수퍼바스, 1903)
  • 지미 라이언: 36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89)
  • 톰 브라운: 37 (루이빌 커널스, 1892)
  • 지미 셰카드: 32 (시카고 컵스, 1911)
  • 에드 델라헌티: 31 (필라델피아 필리스, 1893) [참고: 중견수에서 17경기 출전 포함]
  • 틸리 워커: 30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914)
  • 더피 루이스: 29 (보스턴 레드삭스, 1913)
  • 더피 루이스: 28 (보스턴 레드삭스, 1910)
  • 맥스 캐리: 27 (피츠버그 파이리츠, 1913)
  • 더피 루이스: 27 (보스턴 레드삭스, 1911)
  • 바비 비치: 26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20)
  • 구스 고슬린: 26 (워싱턴 세네터스, 1923)
  • 빌리 해밀턴: 26 (필라델피아 필리스, 1890)
  • 조 켈리: 26 (브루클린 수퍼바스, 1899)
  • 지미 셰카드: 26 (시카고 컵스, 1912)

5. 한국 프로야구(KBO) 기록

5. 1. 시즌 기록

수비기록보살선수명소속 구단기록 연도보충 설명
포수일본 기록123우메노 류타로한신 타이거스2019년
퍼시픽 리그 기록119도이가키 타케시도에이 플라이어스1954년
1루수일본 기록124R. 페타지니야쿠르트 스왈로스1999년
퍼시픽 리그 기록122에노모토 키하치도쿄 오리온스1965년
2루수일본 기록535키쿠치 료스케히로시마 도요 카프2014년
퍼시픽 리그 기록486나카무라 쇼고지바 롯데 마린스2018년
3루수일본 기록522사카모토 분지로다이에이 스타즈1955년
센트럴 리그 기록484후지무라 후미오오사카 타이거스1950년
유격수일본 기록526겐다 소스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2018년
센트럴 리그 기록490토리타니 다카시한신 타이거스2006년
외야수일본 기록24히라야마 키쿠지다이요 웨일스1950년
퍼시픽 리그 기록23쿠사카 타카시긴테쓰 펄스1954년


5. 2. 통산 기록

다음은 KBO 리그 포지션별 통산 최다 보살 기록이다 (2024년 종료 시점).

기록보살선수명
포수 최다 보살1625타니시게 모토노부
1루수 최다 보살1685오 사다하루
2루수 최다 보살5866타카기 모리미치
3루수 최다 보살5325나카시마 시게오
유격수 최다 보살6196사카모토 하야토
외야수 최다 보살175야마우치 카즈히로


6.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기록

wikitext

다음은 MLB 포지션별 시즌 최다 보살 기록이다.

수비선수명소속팀기록 연도보살
투수에드 워시시카고 화이트삭스1907년227
포수빌 라리덴뉴어크 페퍼 (페더럴 리그)1915년238
1루수앨버트 푸홀스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2009년185
2루수프랭키 프리시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1927년641
3루수그레이그 네틀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1971년412
유격수오지 스미스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1980년621
외야수오레이터 셰이퍼시카고 화이트스타킹스1879년50



각 포지션별 최다 보살 기록을 달성한 선수들의 상세 기록은 다음과 같다.
1루수


2루수

  • 프랭키 프리쉬: 64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27)
  • 휴이 크리츠: 588 (신시내티 레즈, 1926)
  • 로저스 혼스비: 582 (뉴욕 자이언츠, 1927)
  • 스키 멜릴로: 572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930)
  • 라이언 샌드버그: 571 (시카고 컵스, 1983)
  • 래빗 마란빌: 568 (피츠버그 파이리츠, 1924)
  • 프랭크 파킨슨: 562 (필라델피아 필리스, 1922)
  • 토니 쿠치넬로: 559 (보스턴 브레이브스, 1936)
  • 조니 호답: 557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30)
  • 루 비어바우어: 555 (피츠버그 파이리츠, 1892)

유격수
3루수
포수

  • 빌 라리덴: 238 (뉴어크 페퍼스 [페더럴 리그], 1915)
  • 빌 라리덴: 215 (인디애나폴리스 후지어스 [페더럴 리그], 1914)
  • 팻 모란: 214 (보스턴 비네이터스 [내셔널 리그], 1903)
  • 오스카 스타네이지: 212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99)
  • 아트 윌슨: 212 (시카고 웨일스 [페더럴 리그], 1914)
  • 개비 스트리트: 210 (워싱턴 세네터스, 1909)
  • 프랭크 스나이더: 204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15)
  • 조지 깁슨: 203 (피츠버그 파이리츠, 1910)
  • 빌 버겐: 202 (브루클린 슈퍼바스, 1909)
  • 클로드 베리: 202 (피츠버그 레벨스 [페더럴 리그], 1914)

투수

  • 에드 윌시: 227 (시카고 화이트삭스, 1907)
  • 윌 화이트: 223 (신시내티 레즈 스타킹스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1883)
  • 에드 윌시: 190 (시카고 화이트삭스, 1908)
  • 해리 하웰: 178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905)
  • 토니 멀레인: 177 (루이빌 이클립스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1882)
  • 존 클락슨: 174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내셔널 리그], 1885)
  • 존 클락슨: 172 (보스턴 빈이터스 [내셔널 리그], 1889)
  • 잭 체스브로: 166 (뉴욕 하이랜더스, 1904)
  • 조지 멀린: 163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04)
  • 에드 윌시: 160 (시카고 화이트삭스, 1911)

좌익수

  • 해리 스토비: 38 (필라델피아 애슬래틱스, 1889)
  • 지미 셰카드: 36 (브루클린 수퍼바스, 1903)
  • 지미 셰카드: 32 (시카고 컵스, 1911)
  • 에드 델라헌티: 31 (필라델피아 필리스, 1893) [참고: 중견수에서 17경기 출전 포함]
  • 틸리 워커: 30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914)
  • 더피 루이스: 29 (보스턴 레드삭스, 1913)
  • 더피 루이스: 28 (보스턴 레드삭스, 1910)
  • 맥스 캐리: 27 (피츠버그 파이리츠, 1913)
  • 더피 루이스: 27 (보스턴 레드삭스, 1911)
  • 바비 비치: 26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20)
  • 구스 고슬린: 26 (워싱턴 세네터스, 1923)
  • 빌리 해밀턴: 26 (필라델피아 필리스, 1890)
  • 조 켈리: 26 (브루클린 수퍼바스, 1899)
  • 지미 셰카드: 26 (시카고 컵스, 1912)

중견수

  • 하디 리차드슨: 45 (버팔로 바이슨스, 1881)
  • 찰리 더피: 43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9)
  • 짐 포거티: 42 (필라델피아 퀘이커스, 1889)
  • 톰 브라운: 39 (루이빌 커널스, 1893)
  • 톰 브라운: 37 (루이빌 커널스, 1892)
  • 지미 라이언: 36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89)

우익수

  • 오레이터 셰이퍼: 50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79)
  • 휴 니콜: 48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4)
  • 척 클라인: 44 (필라델피아 필리스, 1930)
  • 토미 매카시: 44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8)
  • 지미 배넌: 43 (보스턴 비너터스, 1894)
  • 오레이터 셰이퍼: 41 (버팔로 바이슨스, 1883)
  • 짐 릴리: 41 (버팔로 바이슨스, 1884)
  • 마이크 미첼: 39 (신시내티 레즈, 1907)
  • 짐 포거티: 39 (필라델피아 퀘이커스, 1887)
  • 토미 매카시: 38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8)
  • 킹 켈리: 38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83)


2023년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포지션별 통산 최다 보살 기록은 다음과 같다.[7][8][9][10][11][12][13][14][15]

수비선수명보살
투수사이 영2014
포수1860
1루수에디 머레이1865
2루수에디 콜린스7630
3루수브룩스 로빈슨6205
유격수오지 스미스8375
좌익수지미 셰커드243
중견수트리스 스피커449
우익수해리 후퍼333



20세기 이후 투수 최다 보살 기록은 크리스티 매튜슨의 1503개이며, 20세기 이후 포수 최다 보살 기록은 레이 샤크의 1811개이다.

6. 1. 시즌 기록

다음은 MLB 포지션별 시즌 최다 보살 기록이다.

수비선수명소속팀기록 연도보살
투수에드 워시시카고 화이트삭스1907년227
포수빌 라리덴뉴어크 페퍼 (페더럴 리그)1915년238
1루수앨버트 푸홀스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2009년185
2루수프랭키 프리시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1927년641
3루수그레이그 네틀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1971년412
유격수오지 스미스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1980년621
외야수오레이터 셰이퍼시카고 화이트스타킹스1879년50



각 포지션별 최다 보살 기록을 달성한 선수들의 상세 기록은 다음과 같다.
1루수


2루수

  • 프랭키 프리쉬: 64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27)
  • 휴이 크리츠: 588 (신시내티 레즈, 1926)
  • 로저스 혼스비: 582 (뉴욕 자이언츠, 1927)
  • 스키 멜릴로: 572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930)
  • 라이언 샌드버그: 571 (시카고 컵스, 1983)
  • 래빗 마란빌: 568 (피츠버그 파이리츠, 1924)
  • 프랭크 파킨슨: 562 (필라델피아 필리스, 1922)
  • 토니 쿠치넬로: 559 (보스턴 브레이브스, 1936)
  • 조니 호답: 557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30)
  • 루 비어바우어: 555 (피츠버그 파이리츠, 1892)

유격수
3루수
포수

  • 빌 라리덴: 238 (뉴어크 페퍼스 [페더럴 리그], 1915)
  • 빌 라리덴: 215 (인디애나폴리스 후지어스 [페더럴 리그], 1914)
  • 팻 모란: 214 (보스턴 비네이터스 [내셔널 리그], 1903)
  • 오스카 스타네이지: 212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99)
  • 아트 윌슨: 212 (시카고 웨일스 [페더럴 리그], 1914)
  • 개비 스트리트: 210 (워싱턴 세네터스, 1909)
  • 프랭크 스나이더: 204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15)
  • 조지 깁슨: 203 (피츠버그 파이리츠, 1910)
  • 빌 버겐: 202 (브루클린 슈퍼바스, 1909)
  • 클로드 베리: 202 (피츠버그 레벨스 [페더럴 리그], 1914)

투수

  • 에드 윌시: 227 (시카고 화이트삭스, 1907)
  • 윌 화이트: 223 (신시내티 레즈 스타킹스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1883)
  • 에드 윌시: 190 (시카고 화이트삭스, 1908)
  • 해리 하웰: 178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905)
  • 토니 멀레인: 177 (루이빌 이클립스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1882)
  • 존 클락슨: 174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내셔널 리그], 1885)
  • 존 클락슨: 172 (보스턴 빈이터스 [내셔널 리그], 1889)
  • 잭 체스브로: 166 (뉴욕 하이랜더스, 1904)
  • 조지 멀린: 163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04)
  • 에드 윌시: 160 (시카고 화이트삭스, 1911)

좌익수

  • 해리 스토비: 38 (필라델피아 애슬래틱스, 1889)
  • 지미 셰카드: 36 (브루클린 수퍼바스, 1903)
  • 지미 셰카드: 32 (시카고 컵스, 1911)
  • 에드 델라헌티: 31 (필라델피아 필리스, 1893) [참고: 중견수에서 17경기 출전 포함]
  • 틸리 워커: 30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914)
  • 더피 루이스: 29 (보스턴 레드삭스, 1913)
  • 더피 루이스: 28 (보스턴 레드삭스, 1910)
  • 맥스 캐리: 27 (피츠버그 파이리츠, 1913)
  • 더피 루이스: 27 (보스턴 레드삭스, 1911)
  • 바비 비치: 26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20)
  • 구스 고슬린: 26 (워싱턴 세네터스, 1923)
  • 빌리 해밀턴: 26 (필라델피아 필리스, 1890)
  • 조 켈리: 26 (브루클린 수퍼바스, 1899)
  • 지미 셰카드: 26 (시카고 컵스, 1912)

중견수

  • 하디 리차드슨: 45 (버팔로 바이슨스, 1881)
  • 찰리 더피: 43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9)
  • 짐 포거티: 42 (필라델피아 퀘이커스, 1889)
  • 톰 브라운: 39 (루이빌 커널스, 1893)
  • 톰 브라운: 37 (루이빌 커널스, 1892)
  • 지미 라이언: 36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89)

우익수

  • 오레이터 셰이퍼: 50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79)
  • 휴 니콜: 48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4)
  • 척 클라인: 44 (필라델피아 필리스, 1930)
  • 토미 매카시: 44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8)
  • 지미 배넌: 43 (보스턴 비너터스, 1894)
  • 오레이터 셰이퍼: 41 (버팔로 바이슨스, 1883)
  • 짐 릴리: 41 (버팔로 바이슨스, 1884)
  • 마이크 미첼: 39 (신시내티 레즈, 1907)
  • 짐 포거티: 39 (필라델피아 퀘이커스, 1887)
  • 토미 매카시: 38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88)
  • 킹 켈리: 38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83)

6. 2. 통산 기록

2023년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포지션별 통산 최다 보살 기록은 다음과 같다.[7][8][9][10][11][12][13][14][15]

수비선수명보살
투수사이 영2014
포수1860
1루수에디 머레이1865
2루수에디 콜린스7630
3루수브룩스 로빈슨6205
유격수오지 스미스8375
좌익수지미 셰커드243
중견수트리스 스피커449
우익수해리 후퍼333



20세기 이후 투수 최다 보살 기록은 크리스티 매튜슨의 1503개이며, 20세기 이후 포수 최다 보살 기록은 레이 샤크의 1811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annons and Popguns — Rating Outfield Arms - The Hardball Times http://www.hardballt[...] 2006-02-21
[2] 문서 公認野球規則10.10
[3] 뉴스 イチロー補殺「認定アシスト」に驚き https://www.nikkansp[...] 2013-04-29
[4] 문서 ただし、外野手の本塁送球を捕手が落球するなどして、記録員がその時点で一連のプレーは途切れたと判断した場合は、その後に前述した打者走者のアウトが発生しようとも、外野手には補殺は記録されない。
[5] 문서 ただし、悪送球をした三塁手がその後のランダウンプレイに参加するなどして、再びボールに触っていたのであれば、その触った行為に対して補殺が記録される。
[6] 뉴스 2010年9月度「JA全農Go・Go賞」受賞選手 (パシフィック・リーグ) | 2010年 表彰選手 http://npb.jp/award/[...]
[7]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ssists as P https://www.baseball[...]
[8]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ssists as C https://www.baseball[...]
[9]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ssists as 1B https://www.baseball[...]
[10]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ssists as 2B https://www.baseball[...]
[11]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ssists as 3B https://www.baseball[...]
[12]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ssists as SS https://www.baseball[...]
[13]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ssists as LF (s.1901) https://www.baseball[...]
[14]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ssists as CF (s.1901) https://www.baseball[...]
[15]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Assists as RF (s.1901) https://www.baseball[...]
[16] 웹인용 야구 기록의 현대화… 기록지 한글 표기 도입 http://sports.news.n[...] 2020-03-07
[17] 서적 2019 공식 야구규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